과거 KISA에서 중소기업을 비롯한 소상공인들이 직면한 다양한 보안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실무 가이드가 발간되었었습니다. 오늘 소개할 이 가이드는 중소기업 스스로 쉽게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보안 위협의 종류별 특징, 피해 사례, 예방 대책, 그리고 피해 발생 시 대응 방법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자료입니다.“중소기업 정보보호 실무 가이드”는 중소기업이 실제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보안 위협별 예방과 대응 방법, 그리고 실무 중심의 관리·운영 노하우를 두 권(1부, 2부)으로 나누어 제공합니다.1부(보안위협 예방 및 대응 가이드)는 악성 프로그램, 해킹, 랜섬웨어, 개인정보 유출 등 다양한 보안 위협의 유형별 피해 사례, 예방책, 그리고 사고 발생 시 구체적 대응 절차를 중점적으로 다..
최근 서버 보안 이슈가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장애 대응과 점검에 대한 실무적 지식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비록 예전 자료이긴 하지만 여전히 참고할 만한 행안부에서 공개한 “정보시스템 장애대응 매뉴얼”을 공유하고, 주요 내용을 정리해 소개합니다.※원문 링크 : 행정안전부 국가정보원자원관리원 일반자료 '2015정보시스템 장애 대응 매뉴얼' 2015년_정보시스템_장애대응_매뉴얼_최종.pdf 정보시스템 장애대응 매뉴얼 소개이 매뉴얼은 정부통합전산센터에서 발간한 표준화된 장애 대응 가이드로, 실제 장애 발생 시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문제를 진단·해결할 수 있도록 다양한 분야별 사례와 절차를 담고 있습니다. 장애 예방부터 사후 조치까지, 실무에 바로 적용 가능한 노하우가 풍부하게 정리되어 있어 서버..
1. 머릿말1부 라이선스 검토에 이어 오늘은 PC사양을 결정하는 기준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제가 처음 IT 관리자가 되었을 때, 가장 많이 고민했던 것 중 하나가 바로 PC 사양이었어요. 어떤 업무를 하느냐에 따라 하드웨어 구성을 달리해야 하는데, 이 부분을 잘못 판단하면 나중에 큰 후회를 하게 됩니다.(왜 자기껀 사양이 낮냐고 따지거나, 누구를 특혜를 줬다 오해가 생기기도...)회사의 업무용PC는 내가 아닌 타인이 사용하는 장비 이기 떄문에 한 번의 잘못된 선택으로 장기적 다양한 측면에 큰 부담이 될 수 있으니 그 만큼 신중해야 합니다. 2. 하드웨어 선정 기준2.1 업무별 성능 요구사항처음에는 "개발자면 좋은 컴퓨터, 사무직은 싼 거"라는 단순한 기준으로 접근했었어요. 하지만 실제로 운영해보..
1. 머릿말처음 IT 관리자로 일을 시작했을 때, 가장 먼저 마주친 문제 중 하나가 업무용 PC 구입이었습니다. 특히 윈도우 라이선스를 어떻게 선택할지에 대해 많은 고민을 했죠. **COEM(기본설치형)**으로 갈지, 아니면 미설치형으로 구매한 뒤 별도로 라이선스를 구입해야 할지 쉽게 결정할 수 없었습니다.그뿐만 아니라, 윈도우 버전 선택도 큰 고민거리였습니다. 업무 환경에 적합한 윈도우 버전을 골라야 했는데, 그 기준이나 정보가 부족했던 탓에 판단이 쉽지 않았습니다. 업무에 필요한 소프트웨어의 호환성, 보안 요구 사항, 하드웨어와의 호환성 등 다양한 요소를 함께 고려해야 했기 때문입니다.당시 회사에서 여러 대의 PC를 한 번에 구매하게 되었는데, 이때 윈도우 라이선스 관리 문제가 본격적으로 불거졌습니다..
이전 KeepassXC - 무료 오픈소스 패스워드 관리자 리뷰에 이어지는 상세 사용 가이드입니다.KeepassXC는 무료 오픈소스 패스워드 관리자로, 강력한 보안 기능과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이 가이드에서는 KeepassXC의 초기 설정부터 팀 공유, 모바일 사용까지 실제 사용에 필요한 모든 단계를 상세히 설명합니다.특히 이 가이드는 다음과 같은 사용자들을 위해 작성되었습니다:엑셀 등 일반 문서로 관리하던 비밀번호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싶은 분팀 내에서 비밀번호를 공유하고 관리해야 하는 분모바일 기기에서도 안전하게 비밀번호에 접근하고 싶은 분강력한 보안 기능을 무료로 사용하고 싶은 분 초기 설정 가이드1. 데이터베이스 생성KeepassXC 실행'데이터베이스 생성' 클릭저장 위치 선택 (..
프로젝트를 진행하려다보면, 막상 어떻게 프로젝트 기반환경을 구성해야할지 난감할때가 참 많습니다. 소규모 일경우에는 제약이 있는 무료 서비스들을 이용하는 편이 많긴한데, 이 경우 각각의 서비스들이 있기 때문에 생산성을 확보하기가 어려운 측면이 있습니다. 뿐만아니라 어쩔 수 없이 비용을 지불해야할 경우들도 있구요.오늘은 Synology NAS 기반으로 업무 구성 안에 짧게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목적 및 구성 세부내용목적패키지 / 솔루션기반비고계정관리(LDAP) Directory Server Synology Application통합 계정 관리를 위함. SSO를 대신 사용할 수도 있음.데이터 공유/저장FileStation / DriveSynology ApplicationNFS 마운트로 서버 데이터 연동 가능함...